와이제이 뉴스

재무제표의 종류와 재무상태표 1. 본문

1일1용어

재무제표의 종류와 재무상태표 1.

마웨이 2018. 5. 25. 06:00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무제표에 대해 그 종류와 각각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재무제표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라는 것은 기업의 경영활동을 간략하게 정리해서 내놓은 재무보고서입니다. 

어느 기업에 속해 있지 않는 이상 그 기업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수익을 내고있는지 자본을 깎아먹고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들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리기 위해 재무정보를 제공하는데 이것이 재무제표입니다. 일정 시점에서 그 기업이 얼마나 자산을 가지고 있는지, 또 일정 기간동안 그 기업이 돈을 얼마 쓰고 얼마를 벌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5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르흠표, 주석 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 중 주요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이지만 5가지 모두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아주 쉽게 말해서 일정 시점에서 기업이 가지고 있는 부채와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계입니다. 이 재무상태표를 보고 이용하는 이용자는 기업의 수익성, 재무적 탄력성, 유동성과 위험등을 이 재무상태표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는 표가 좌우로 나뉘어져 자산과 부채+자본으로 표시되는 계정식이 있고 자산 부채 자본이 세로로 길게 늘어져 있는 형태를 보고식이라고 합니다. 

보통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결정하기 위해 기업 공시에 나와있는 재무상태표를 보게되면 세로로 길게 나와있는 보고식을 거의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가독성이 좋기 때문에 공시 등 보고에는 보고식으로 사용이 됩니다. 

위에 썼듯이 자산총액 = 부채총액 + 자본총액 이라는 공식은 항상 성립하게 됩니다. 부채는 말그대로 빚. 갚아야 할 타인의 돈이고 자본은 기업이 조달한 갚을 필요가 없는 자금입니다. 이 둘을 합치면 자산과 일치하게 됩니다. 


자산의 종류에는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으로 크게 나뉘게 됩니다. 유동자산에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포함되고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및 기타유통채권 등이 기록됩니다. 비유동 자산에는 장기금융상품, 장기금융리스채권, 부동산 등이 있습니다. 유동, 비유동이라는 단어 그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유동자산에는 바로 현금화시키기 쉬은 단기 자산들이 포함되어 있고 비유동 자산에는 현금화하기 어려운 시간이 길게 걸리는 부동산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자산 밑에 부채가 표시 됩니다. 

부채도 자산과 마찬가지로 유동부채, 비유동 부채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마지막 아래에는 자본이 표시됩니다.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등으로 표시가 됩니다. 그리고 자산, 부채, 자본 오른쪽에는 그에 해당하는 금액이 표시가 됩니다. 그래서 어떤 항목이 얼마만큼 있는지 금액으로 바로 알 수가 있습니다. 

이 표를 통해 자산총액이 얼만큼이고 부채가 얼만큼인지 그리고 자산에서 부채를 제한 금액 자본은 어떻게 변동되는 것 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