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제이 뉴스

주식투자용어 PER 알아보기. 본문

1일1용어

주식투자용어 PER 알아보기.

마웨이 2018. 5. 24. 16:30

안녕하세요 와이제이 뉴스입니다. 오늘은 주식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PER이라는 용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PER(주가수익비율)은 주가가 비싼 상태인지 아니면 낮은 상태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잣대입니다. PER을 구하는 공식은 현재 기업의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면 PER값이 나오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주에 10000원인 주식이 있고 이 회사의 주식이 한 해동안 1000원의 순이익을 낸다면 PER은 10이 됩니다. 그럼 이 회사의 PER은 10인데 이게 고평가 되어 있는지 저평가 되어 있는지 어떻게 알까요? 

같은 업종에 속한 다른 여러 기업의 PER도 같이 비교해주어야 합니다. 예를들어 같은 업종에 있는 회사 A와 B가 있을 경우 A,B회사 모두 주가가 10000원입니다. 근데 두 회사의 순이익이 2000원과 4000원일경우 어떻게 될까요? 위에서 말씀드린 공식대로 계산할경우 10000/2000 그리고 10000/4000을 해주시면 PER은 A=5, B=2.5라는 값이 나오게 됩니다. 


같은 업종이고 규모또한 비슷할 때 A와 B 회사 중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하게 될까요. B의 주식이 가격 메리트가 있습니다. 앞으로 몇가지 용어를 설명드리면서 이러한 투자지표를 알아볼텐데 PER 하나만 가지고 투자를 결정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들어서 B회사가 불안정한 중소기업이고 A회사가 대기업일 경우 위에 PER 값처럼 A회사가 고평가 되어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아닐 것 입니다. A가 조금더 안정적이고 망할 확률도 적고 순수익이 조금 낮았지만 꾸준히 유지해나갈 수 있는 안정적인 힘은 있습니다. B회사는 꾸준히 수익을 내고 있지만 회사가 불안정하고 다른 요인에 민감하고 흔들리는 회사라면 PER값만 보고 A회사가 고평가 되었다고 할 수 없을 것 입니다. 

오히려 A와 B가 같은 메리트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PER을 보더라도 같은 업종이고 그 안에서 여러 기업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비교대상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PER자체를 계산할 때 주당순이익으로 나눈다고 했습니다. 이 순이익은 그 기업의 직전년도 순이익을 사용하게 됩니다. 주가는 현재주가로 계산하면서 순이익은 작년을 기준으로 한값을 나누기엔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물론 과거의 상태가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이어진다면 상관없지만 수시로 변하는 상황에서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

그래서 현재주가를 현재 순이익으로 나눠주면 좋습니다. 이는 증권사의 여러 리포트를 통해 추정순이익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 값으로 계산을 하면 조금 더 정확한 PER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 장기로 투자를 하게 될경우 저PER을 매수하는 것보다 고PER을 매수하라고 합니다. PER을 이용해서 매수,매도를 선택하기보다는 여러 지표를 활용해서 PER로 자신만의 기준으로 걸러준다라고 생각하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