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제이 뉴스
금리란 무엇일까요?! 기준금리 본문
안녕하세요 와이제이 뉴스입니다. 주말내내 비가 오더니 이제 분무기 같은 비를 내리고 있습니다. 운전하는데 여간 신경쓰이는게 아닙니다. 비가오면 바닥에 물이고여 바닥이 반짝거려 보입니다. 그럼 차선이 거의 안보이다시피 하는 곳도 많습니다. ㅜㅜ 일요일까지 비가 온다는데 슬슬 그쳤으면 좋겠습니다.
금리란 무엇일까요? 뉴스를 보다보면 금리가 올랐다 내렸다 또는 무슨 금리가 올랐다 내렸다라는 글을 종종 보게 됩니다. 그럼 금리가 뭔지 알아야할 것 같습니다. 영어로는 interest rate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돈의 가격입니다. 이자율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우리는 시장이나 마트에서 사과를 살 때 돈을 주고 받습니다. 그럼 돈의 가격이라는 금리는 돈을 주고 받을 때의 가격입니다. 이해가 가시나요?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우리는 이자를 냅니다. 그리고 반대로 은행에 돈을 넣고 시간이 지나면 이자를 받습니다. 이런 것이 금리입니다. 그렇다면 금리가 낮은 것이 좋을까요 높은 것이 좋을까요? 답은 없습니다. 나라 상황과 맞게 그리고 세계 상황과 맞춰 움직이게 됩니다. 쉽게 설명해서 받는 이자라고 생각한다면 금리가 높아진다면 이자를 많이 받게 됩니다. 그럼 사람들은 다른 수단 보다는 은행에 저축해서 많은 이자를 받으려고 할 것입니다. 반대로 이자가 내려간다면 은행에 돈을 넣어봤자 이자가 얼마 안되니 저축을 하지 않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은행 저축보다는 다른 자산에 투자를 많이 하게 됩니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 눈을 돌립니다.
이 금리는 기준이 있습니다. 기준 금리라고 불립니다. 기준금리는 나라의 기준이되어 줍니다. 우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을 합니다. 이렇게 결정된 기준금리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금리도 시간차가 서로 다르긴 하지만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최근 미국이 금리를 올렸고 앞으로도 올릴 계획이 있고 올릴 가능성이 크다는 기사를 보셨을 겁니다. 위에서 금리란 국내외 상황에 맞게 같이 움직인다고 했는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까요? 따라서 올릴 가능성이 더 생깁니다. 미국의 금리는 현재 1.50~1.75% 입니다.
그럼 우리나라의 금리는 어떨까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1.50%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1.50~1.75% 같다고 하시면 안됩니다 .이미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앞으로 미국 금리가 더 상승하게 된다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상승압박을 받게 됩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금리가 높아지면 은행으로 돈이 이동한다고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국가의 경계 없이 돈은 금리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려는 성격이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달러가 우리나라의 원화보다 영향력이 있고 안전한 자산입니다. 이런 배경에서 미국 금리까지 더 높게 쳐준다면 당연히 미국으로 돈이 들어갈 겁니다. 그럼 우리나라에서는 외화가 빠져나가게 됩니다. 이 사태가 심각하다면 외환위기가 찾아오는 것이고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금리와 연관이 있는 통화정책인 양적완화와 긴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일1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쉽게 읽는 방법 2. 손익계산서. (0) | 2018.05.24 |
---|---|
주식투자용어 BPS란 무엇인가?!? (0) | 2018.05.24 |
주식투자용어 PER 알아보기. (0) | 2018.05.24 |
은행은 어떻게 돈을 벌까?? 예대마진이란?!? (0) | 2018.05.22 |
물가란 물건의 가격.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0) | 2018.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