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석유화학 (8)
와이제이 뉴스
기사를 보면 일단 22일 opec회의에서 산유국은 증산에 합의를 했습니다. 하루 평균 약 100만배럴에 합의했지만 대부분 65~75배럴의 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감산 협의에 따라 기존부터 줄어든 생산량을 따라잡기는 힘들다는 예상입니다. 베네수엘라는 계속 줄어들고 있고 리비아가 공급이 더 힘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계속되는 내전으로 생산이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증.산이 결정되었지만 이후 유.가는 오히려 상승했습니다. 기존의 감산한 양에 비해 훨씬 미치지 못할것으로예상되고 정확한 목표가 제시되지 않아 현실적인 증.산이 더 지체될 것이라는 입장입니다.실제로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국가도 제한되어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가장 증.산 여력이 큰 국가로는 사우디와 러시아입니다. 장기적으로 유가는 상.승..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석유화확관련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일단 국제유가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WTI 66.89달러 0.25상승(+0.37%)두바이유 73.94달러 0.52하락(-0.70%)브렌트유 75.94달러 0.80하락(-1.04%)원유는 저번 포스팅때와 마찬가지로 2018년 5월 21일 ~ 23일 각각 72.24, 77.28, 79.80달러를 최고점으로 한 이후 현재까지 계속하.락.해서 현재 가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내.기.름.값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고급휘발유 1,898.97원보통휘발유 1,609.97원경유 1,410.92원등유 939.26원을 각각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름.값.은 6월초 ~ 지난 13일까지의 가격이 최고점을 찍은 상황입니다. 단순하게 유.가와 시간차를 두고 가격이..
안녕하세요 내일이면 북미 정상회담이 시작되고12일~13일에는 미국 금리가 결정이 됩니다. 6/8일 기준으로 국제유.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WTI - 65.74달러 - 0.21하,락(-0.31%)두바이유 -74.30달러 - 0.58하.락(-0.77%)브렌트유 -76.46달러 - 0.86하.락(-1.11%) 전 포스팅과 마찬가지로2018년 5월 22~23일 최고점을 찍은 이후로 계속 하락해서 현재도 하,락 진행중입니다. 그럼 국내유,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10일 기준으로 고급휘,발유 - 1,898.32보통휘발,유 - 1,610.14자동차경유 - 1,410.76실내 등유 - 938.97입니다. 국내 휘발.유와 경유는 최근인 6/6~6/9일까지꾸준히 상승한후 요 며칠 내려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점점 계단식으로 하,락하고 있는 롯데케미칼입니다. 유,가 변동성 폭이 확대되면서 스프레드에 대한 부담도 늘어나고실적도 힘을 못쓰면서 하.락이 계단식으로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롯.케의 3개월 주가그래프입니다 .그리고 엘지화,학의 3개월 주가그래프입니다. 그래도 lg화.학은 요며칠 상 승하긴 했네요. 둘 다 석유화'학 업종의 대표입니다. 롯'데의 매출구성을 보면 폴리머 62%, 모노머 27%, 기초유분 14%로 구성되어 있다고합니다. 엘지는 시초소재 67%, 전지 17%, 정보전자소재/재료 10%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모노머는 폴리머라는 것을 이루는 최소한의 단위입니다. 일단 전에 유'가와 관련한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1.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유,가의 불확실성이란 핵협정으로 인해 유.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과 러시아가 증산 방안을 위해 공식 논의 한다고 합니다. 최근 급등한 유가는 현재 진정세를 보이고는 있는 것 같습니다. 모든 유종이 5/25일 급등을 멈추고 잠시 하락했다가 26일 27일 다시 튀었다가 현재 다시 하락한 상황입니다. 두바이유, WTI, 브렌트유는 1년전과 비교하면 꾸준히 상승한 가격입니다. 2017년 6월 중순 42, 45, 44달러를 기록하며 2017년 7월로 다가가며 계속 상승 그리고 현재까지 상승해서 올라왔고 각각 67, 74, 77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급등은 잠시 멈춘 상태인 것같습니다. 브렌트유는 소폭 상승했지만 두바이유, WTI는 하락마감 했습니다. 산유국과 러시아의 증산 방안이 나오면서 점점 상승은 멈추기 시작했습니다. 시장 안..
안녕하세요 이제 막 공부시작한 롯데케미칼이 최근 계속해서 주가가 하락 중입니다. 2018.3.2일 부터 하락해서 현재까지 하락중입니다. 그래도 5/31 오늘 현재는 5월 마지막날이라 그런지 현재 시간으로 2.6%정도 상승했습니다. ^^ 아무튼 위 사진을 보시면 3/2일 최대 475,000원을 찍고 현재 372,500원까지 거의 10만원 정도 두달동안 하락했습니다. 주로 하락하는 원인이 무엇이 있을까요? 위 사진은 WTI 서부텍사스유의 유가 변동입니다. 최저라고 점찍힌 파란색 점이 보이시나요? 3월 초 WTI 유가는 배럴당 60.12를 찍고 계속해서 상승했습니다. 최근 배럴당 72.24달러를 찍고 약간 하락하긴 했네요. 아무튼 유가 상승에 따른 납사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을 겁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석유화학에..
저번에 포스팅한 내용이 있습니다. 일상생활 속 석유제품에 대해 소개했었습니다. 석유는 우리 삶에서 없어서는 안될 원자재고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들어 있습니다. 지금 노트북으로 이 글을 쓰고 있지만 노트북의 표면, 플라스틱 등도 석유제품입니다. 이런 석유제품이 나오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에서 아주 쉽게 이해되도록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한국석유화학협회 사이트에 나와있는 사진입니다. 원유를 수입하고 원유는 정제가 필요합니다. 정제라는 과정을 통해 휘발유, 경유, 등유, 중유 등 여러 유종으로 분리가 됩니다. 여기서 나온 유종은 주유소로 가게됩니다. 우리가 흔히 차에 넣고 쓰는 기름입니다. 그럼 제품을 만드는 석유화학 과정은 어디서 나오게될까요? 납사(나프타, naphtha..
안녕하세요. 오늘도 유가상승과 관련한 기사를 많이 봤던 것 같습니다. 대표로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생산자물가(producer price index)가 전달에비해 0.1% 상승했다고 합니다. 생산자 물가는 소비자 물가랑 연관지어 생각하시면 어떤건지 쉽게 아실수 있으실 겁니다. 유가상승으로 우리 일반 소비자도 직접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체감으로도 쉽게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생활속 깊이 석유제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통 제일 먼저 떠오르는 부분이 주유소에서 넣는 휘발유나 경유일 것입니다. 당연히 휘발유, 경유, 등유, lpg도 석유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 주유소의 기름값도 쭈욱 상승하고 있습니다. 제목에서 적은 것 처럼 이불, 플라스틱, 화장품, 타이어 등을 포함한 이외에도 수 많은 제품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