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소득주도성장 (5)
와이제이 뉴스
오늘은 소득주도성장에 대해 다시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번 포스팅에서도 글을 쓴적이 있는데요. 오늘 이와 관련해 기사가 또 나왔습니다. 소득양극화와 관련해서 말이죠. 소득양극화 금융위기이후 최악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소득이 많은 상위 20%는 수입이 오히려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적은 하위 20%는 소.득이 줄어들었죠. 양극화가 점점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잘 벌고 있는 사람들은 더 잘벌게 되었고 못 벌고 있는 사람들은 전보다 더 못벌게 되는 흐름입니다. 이와관련해 소득주도성장이 한 목소리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지난번에 간단하게 설명했었는데. 가계소.득이 늘어나면 소비가 늘어나고 - 기업 매출 증가 - 신설 투자 증가/고용증가 - 소.득증가 라는 선순환을 만드는 목표입니다. 한마..
현재 2018년 최저임금은 7,530원 입니다. 그리고 내년은 8,350입니다. 올해 대비 10.9%인상되는 금액입니다. 이로인해 말이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영세상인, 자영업자의 불만이 엄청 컸습니다. 불만이라기 보다 생존권을 위협하는 수준이었죠.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려웠는데요. 이에대해 정부의 입장이 다시 나왔습니다. 최악의 고용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어느정도 고용에 악영향이 있을거라고 예상했지만 예상보다 더 심각했기 때문입니다. 2018년 7월 취업자수는 약 2708만명입니다. 2017년 7월보다 약 5천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작년은 월평균 3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2018년 들어 취업자의 증가폭은 10만명대로 주저앉았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5000명으로 완전 급감한 수치입니다. 문..
전에 소득주도 성장과 관련한 포스팅을 이미 하긴 했었습니다.소.득.주.도.성.장.이.란?!?!?!?! 위 노랑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내용과 어떤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인지적어놓았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이와 관련한 기사를 몇개 추려보도록하겠습니다. 1.지표에 따라 달라지는 정책... 흔들리는 소득주도성장 정부는 한국 경제성장률 3%를 포기했습니다. 취업자 전망도 기존 예상보다반으로 내렸습니다. 여러 일자리 관련 정책과 지원을 펼쳤지만 결과는 반대를보여주고 있죠. 최악의 고용과 실업자 그리고 오히려 소득이 낮은 취약게층 소득이줄어들고 오히려 고소득자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최저임금도 급격하게 상승했고 19년도 예상 최저임금인상도 8350원입니다.문재인 대통령은 공약대로 최저임금 1만원은 어려울 것 같다며 공..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이란 무엇일까요?전에 포스팅한 적 있지만 취약게층, 저임금, 일반 가계의 수입을 올려주고더 늘어난 소.득으로 소비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소비를 늘린다. 물건을 더 많이 사고 여행가고, 사고싶었던 것 사고, 차사고외식하고 장보고 등의 활동을 더 늘리면 상품, 서비스를 파는 기업도 매출이올라가며 늘어난 매출과 이익으로 새로 투자를 하거나 시설을 늘려 생산을 늘리고이는 다시 고용으로 가며 다시 가계 소.득으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책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국가의 사례도 있고 일부 학자들의이론이라는 말도 많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보면 대표적으로 최.저.임.금 인상이 있었죠. 하지만 최.저.임.금이 대기업, 공기업에 속한 직원들을 위한게 아니라 취약계층, 저임금노..
최근 뉴스에 소득주도성장이란 단어가 자주 나오는 것 같아서 포스팅을 하게 됐습니다. 소득주도성장 단어하나하나 풀어 해석하면 됩니다. 소득이 주도가 되는 경제성장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맞습니다. 소득이 늘어나고 이는 소비증가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소비증가가 성장률을 높인다는 말입니다. 소비가 증가하면 기업의 매출도 따라 증가하고 매출, 이익 증가는 기업이 추가로 투자하거나 고용을 늘리고 임금을 인상하고 다시 소비증가 이런식의 선순환을 만드는 것이 목적입니다. 현재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을 위해 대규모로 공공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최저임금 인상을 서둘렀습니다. 하지만 지금 소득주도성장이 조금이나마 되고 있는지 의문이 들고 기사 내용 또한 같은 느낌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고용절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