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제이 뉴스
다시 최대치 찍은 주택담보대출. 가계 부채도 또 상승. 본문
가계부채와 관련해서 최근에도
포스팅을 했고 그 전에도 포스팅을 한 기억이 납니다.
2018년도 가.계.부.채는 17조원 늘어난
1468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기사는 규제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5월달 주택 담보 대,출이 최,대폭으로 늘었다는 내용입니다.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소폭 감소했고
금융권 전체를 보면 마찬가지로 증가폭은 조금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주,담,대는 최'대폭으로 늘어났다는 내용이구요.
2018년 5월을 보면
가.계.대.출이 전월 4월보다 5조 3천억원 증,가했고
전체 규모는 786조 8천억원이라고 합니다.
이번년도 들어서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늘어난 주.담.대는 개인이 빚을 낸 것보다
집단대.출이 늘어난 것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개별 주'담'대는 소폭 감소했고, 단체 주'담'대는 약 1조7천억 늘어나
최대'폭을 기록했다는 것입니다 .
사실 이 수치자체는 기사화되긴 했지만
증.가.폭이 소폭 증.가해서 최,대폭으로 늘어났다는
자체는 유의미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큰 것 같습니다 .
증'가폭에 대해서는 무의미하다고 하지만
총 규모를 보면 심각합니다.
이미 가,계,부,채에 빨간불이 들어와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곧 미국의 기준금,리는 1.75~2.0%로 인상하게 될 것입니다.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한국을 포함해서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전에 포스팅한적이 있어서 생략하겠습니다 .^^
아무튼 아직 국내 경제지표도 완만한 상황은 아니지만
이러한 요인보다는 국외문제 즉
자금유출이나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부담인 국내 사정은
바로 1400조가 훨씬 넘는 가,계,부,채입니다.
금.리인.상으로 인해 과거와 같은 위기까지 찾아오지는
않겠지만 이자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 둔화 그리고 그로인한
경기 둔화의 시작은 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2금융권의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이미
부실화의 조짐은 시작되었습니다.
아직 한국 기준금.리는 변동이 없지만 만약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리게 된다면 분명 타격을 받아 문제점이 드러날 것입니다.
현재 문제가 될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은 진행중이긴 합니다.
'가.계.대.출 프리 워크아웃' 이란
폐업이나 실직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있는 사람들에게
최대 3년동안 상환을 유예해주는 제도입니다.
그리고 '더나은 보금자리론'은
2금융권 주,댐,대의 부담을 줄여주는 지원책입니다.
2금.융.권의 변동금리를 연3%대 고정금리/분할상환으로 바꿔주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효과는 미미하다고 합니다.
풍선효과로 인해 주'담'대 규제로 인해
위에서 설명한 2,금,융,권의 신,용,대,출로
이동하면서 대'출의 질이 떨어지면서 상환이 더
어려운 상황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합니다 .
물론 취약계층의 상환부담이 늘어나고
특히 취.약.계.층의 채무불이행이 나타날 수 있지만
그 보다는 조금 나은 일반 대.출.자도 부담 증가는 마찬가지입니다.
7,8월 한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해 어느정도의 둔화가 나타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1일 1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기준금리 14일 새벽3시 결과 확인. 인상할까?! (1) | 2018.06.14 |
---|---|
6/12일 북미정상회담 의미있는 첫걸음 될 것인가? (0) | 2018.06.12 |
은행 연체율 증가. 취약계층 금리 상승 부담 느끼기 시작. (0) | 2018.06.11 |
5g 주파수 경매 코앞으로 다가오다. 어떤 내용일까? sk, kt, lg. (0) | 2018.06.10 |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싱가포르 도착. (2)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