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와 유가 무슨상관?!?! 어떤 관계로 움직일까? 달러유가.
안녕하세요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1일1경제.
하루 한개의 기사를 보고 쉽게 이해하기 위해 풀어쓰는 포스팅을
목적으로 작성했습니다.
그래서 현재도 하루 최소 1개의 경제 기사를 풀어서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투자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차근차근 하나씩 큰 경제부터 세부내용까지 적으려고 합니다.
달러와 유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직접 투자보다는 달러나 유가의 흐름을 보고 이와 관련되는 종목이나
특정 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그런 큰 정보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달러와 유가는 반대로 움직입니다.
이 둘은 뗄 수 없는 관게입니다. 원유,석유는 거래할 때 일단 달러로 거래하게 됩니다.
저 원유자체를 달러로 거래하기 때문에 달러가 강세, 약세로 움직일 때는 유가도
여러 방향으로 영향을 받게 됩니다.
달러와 유가 반대로 움직인다!?!?
예를들어 달러의 가치가 상승했다면 어떨까요?
우리나라 환율로 예를 들면 달러가치 상승은
1 달러 = 1000원 에서 1 달러 = 1500원으로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
달러 가치가 상승했기 때문에 우리도 상승한 달러가치만큼 더 많은 돈을 줘야 바꿀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달러 입장에서 생각해본다면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원화를 살 때 같은 원화를 사더라도 더 적은 달러를 주면 원화를 살 수 있습니다 .
원유도 달러로 표시되고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가치가 상승하면 원유를 살 때 전보다 더 적은 달러를 주면 같은 양의 원유를 살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이해되시나요??
그럼 반대로 달러가치가 하락하게 된다면 위와 반대로 같은 원유를 사더라도
더 많은 달러를 줘야 같은 원유를 살 수 있을 것입니다.
달러가치 상승 - 같은 원유를 더 적은 달러로 살수있다 - 원유 가치 하락 - 유가 하락
이렇게 움직이는 것입니다.
반대로
달러가치 하락 - 같은 원유를 살 때 더 많은 달러를 줘야함 - 원유 가치 상승 - 유가 상승
이렇게 움직입니다.
달러와 유가만을 두고보면 이렇게 움직이기 때문에
달러와 유가 음의관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향으로 본다면
달러 가치 상승은 환율 상승입니다. 우리나라 기준에서 원유를 수입할 때
달러가 상승해서 1달러 1000원이 - 1달러 1500원 으로 환율이 오르게되면
원유를 수입할 때 들어가는 비용이 더 많아집니다.
그럼 기름값이 비싸지고 수요가 약해집니다. 수요가 떨어지고 공급은 그대로라면
가치는 떨어지면서 유가는 하락합니다.
반대로 생각하시면 위와 같습니다.
달러가치하락 - 환율 하락 - 원유 수입 비용 감소 - 유가하락.
우리나라가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원유를 수입하는 모든 국가가
달러가치 변화로 비용이 늘거나 감소하면 수요가 변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 수요 변화는 유가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위 처럼 달러 유가는 반대로 움직이지만
이 음의관계는 항상 맞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수요와 공급이 더 우선시 되는 것 같습니다.
달러가치가 어떻든간에 수요공급에 큰 변화가 생기면 이에 맞게
유가가 변화합니다.
예를들어
원유를 뽑는 산유국이 갑자기 더 많은 원유를 생산합니다. 그럼 공급이 많아져서
유가가 하락하겠죠? 1980년대 중반에 그랬습니다.
사우디가 생산량을 조절하지 않고 더 많은 원유를 채굴했습니다. 증산!
그래서 유가는 하락했는데 이때 달러 또한 약세였습니다.
위에서 말한것과 달리 달러와 유가가 둘다 약세를 띄었습니다.
2000년 초반에도 달러유가 음의관계가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이 때는 달러가 강세였습니다. 가치가 상승하고 있었죠.
하지만 수요 급증으로 유가도 상승했습니다. 경제성장이 빨랐던 국가가 늘어나고
그에 맞는 원유를 소비하면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달러도 상승하고 원유도 상승했었습니다.
이처럼 달러와 원유 뿐만아니라
많은 산업과 경제가 기본 원리는 있지만
이보다는 시장에서의 수요 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됩니다 .
최근도 마찬가지 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려가고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각국에 있는 돈이 미국으로 들어갈 것입니다.
달러로 돈이 몰리면 달러가치 상승입니다.
근데 지금 이란 핵협정과 관련해 유가가 최근 거의 80달러까지 급등했습니다.
최근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는 사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