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가장 쉬운 기업분석. 투자정보 읽어보기. 롯데케미칼.

마웨이 2018. 5. 28. 16:12

안녕하세요 주식을 하는데 있어서 기업을 아는 것은 기본입니다. 그리고 기업을 분석하는 방법은 아주 다양하고 깊이도 다릅니다. 오늘은 깊이 있게 보다는 가장 기본적으로 확인하고 가야할 것과 간단한 설명으로 글을 써보겠습니다. 


네이버 증권을 검색해서 들어가시면 여러가지 정보를 쉽게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위에 검색창에 원하는 종목을 입력하고 검색해봅니다. 


그러면 기업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전에도 포스팅했던 기업의 간단한 지표를 보는 방법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예시로 롯데케미칼을 보도록하겠습니다. 저도 공부중이고 석유화학에 관심을 두고 공부 중이어서 롯데케미칼을 선택했습니다. 


보시면 가장먼저 현재 주가가 보입니다. 그리고 오른쪽 투자정보칸을 보시면 요약된 정보들이 표시됩니다. 일단 이부분부터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1. 시가총액


시가총액은 해당 기업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시총이라고 줄여 부르기도 합니다. 보시면 지금 시가총액이 13조 418억원이라고 보입니다. 그럼 어떻게 계산된 걸까요? 

상장된 주식 수 x 주가 입니다. 

시가총액 밑밑에를 보시면 상장주식수가 

34,275,419라고 보이시나요? 이 주식수 곱하기 현재주가를 해보겠습니다. 현재주가는 380,000원입니다. 계산기를 통해 두 수를 곱하면 시총에 표시된 13조 418억원이라는 숫자가 나옵니다. 주식수 곱하기 주가!! 회사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정도로 알아두시면 됩니다. 


2. 상장주식수

위에서 설명했듯이 말그대로 상장되어 있는 주식의 수량입니다. 


3. 액면가


그 밑에 보시면 액면가라고 나와있고 액면가는 5,000원이라고 합니다. 아주 쉽게 설명하면 주식을 발행할 때 5,000원에 발행했다는 것입니다. 1주당 순수가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이 주식은 5,000원에 액면가로 발행된 것입니다. 보통 5,000원이 많으며 500원, 1,000원 등도 있습니다. 


4. 외국인한도주식수


외국인한도주식수란 외국인이 보유할 수 있는 주식의 한도입니다. 지금 롯데케미칼의 외국인한도주식수를 보시면 34,275,419로 위에서 봤던 상장주식수와 숫자가 똑같습니다. 이말은 외국인이 한도없이 롯데케미칼의 주식을 보유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 한도를 정해놓는 이유는 국가 기간산업이나 공공산업에 관련된 기업이 외국인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을 막기 위해 정해놓았습니다. 롯데케미칼은 상관이 없으니 한도도 정해져 있지 않은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밑에 외국인 보유주식수는 말그대로 한도내에서 얼만큼 롯데케미칼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6. 52주최고, 최저

말그대로 최근 52주내에 최고 주가와 최저 주가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가 380,000원인데 52주 최고주가가 475,000원 그리고 최저 주가가 322,500원 입니다. 


7. PER, EPS

저번에 포스팅을 통해 설명드린 per과 esp입니다. 주가수익비율 그리고 주당순이익을 말하는 단어입니다. 이 설명은 전 포스팅에 아주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겠습니다. 


롯데케미칼의 per은 5.8배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전에 포스팅 했듯이 per은 숫자 그대로 읽기 보다는 같은 업종의 평균 per을 직접 보셔야 합니다. 업종per이 예를들어 10이라면 롯데케미칼의 per은 낮은 편이고 업종per가 2.5라면 롯데케미칼의 per은 높은 편입니다. 


직접 확인해봐야 겠지만 네이버 금융에서 알려주는 업종per는 10.02라고 합니다. 


8. PBR

PBR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이것도 전에 포스팅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해놓았습니다. 검색 부탁드립니다 ^^


9. 배당수익률

현재 롯데케미칼의 배당수익률은 2.76%라고 합니다. 저기 보이는 물음표에 마우스를 올리면 

배당수익률 = (배당금/현재가) x 100이라고 나옵니다.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때 받는 배당금이 얼마만큼의 수익률인지 말해주는 숫자입니다. 롯데케미칼의 주식을 들고 있으면 배당으로 인해 2.76%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가장 표면적인 기업의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이 종류는 그래도 하나하나 직접 계산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주지만 이를 토대로 투자를 결정하고 숫자만 비교해서 투자한다면 다들 부자가 됫겠죠? ^^ 다음 포스팅때 그러한 과정을 조금 더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