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1용어

ROE 자기자본이익률 얼마나 중요할까? 보는방법.

마웨이 2018. 5. 27. 21:11

여러분은 요즘 경기가 어떻다고 체감하시나요? 저도 사실 기업에 속한 사람도 아니고 자영업을 하는 사람도 아닌 근로소득자로써 경제변화에 대해 예민하게 와닿는 편은 아닙니다. 이렇게 글을 쓰고 기사를 보며 체감을 듣는 편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고 싶습니다.



오늘은 ​ROE라는 단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 이라는 뜻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 어떤 뜻인지 알아보기전에 한글로 풀이된 저 단어 그대로 먼저 이해하고 가면 쉽습니다. 내 자본으로 이익이 얼만큼 나는가 에대한 단어라는 느낌이 오실 겁니다.

맞습니다. 기업이 무언가 만들어 팔던 매출을 올리고 이익을 내기위해 자기가 가진 자본을 이용해서 투자도 하고 판매하고 매출을 올립니다. ​​이 투자된 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올리는지 나타내주는 그 기업의 이익창출능력을 볼 수 있는 단어입니다.

​쉬운예로 내가 1만원을 투자해서 연말에 보니 1000원의 이익을 내서 11000원이 됐다면 1만원으로 1천원을 번 것입니다. 여기서 자기자본이익률은 10%가 됩니다. 내돈으로 10%만큼의 돈을 벌여들였기 때문입니다.

이 roe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은 기업일수록 좋은 기업일 것입니다. 같은 자본이라도 roe 자기자본이익률이 높다는 것은 효율적인 자본관리와 효율적인 투자로 이익을 그 만큼 많이 발생시켰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있어서 roe 자기자본이익률은 중요하게 눈여겨 보셔야합니다. 그리고 숫자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전에 이 숫자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판단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장 내가 본 roe자기자본이익률이 20%라고 하더라도 다시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보셔야합니다.



몇 가지 추려보자면 roe 자기자본이익률을 보시더라도

​1 roe 자기자본이익률이 20%라고 했을 때 그 때뿐인지 아니면 지속적인 이익률인지 확인해야합니다. 평균적인 roe가 6%인데 어느 분기 어느 해에만 20%라고 한다면 실질적으로 장기적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2 roe자기자본이익률이 영업에 의한 이익인지 그렇지 않은 비영업에 의한 이익인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업이 하는 판매 활동에 의한 매출에 기인한 이익률 상승인지 아니면 기업의 영업 외 수익으로 인한 roe 상승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3 그리고 roe 자기자본이익률이 상승한만큼 부채도 같이 높게 늘어나지 않았는지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위의 고려사항처럼 roe 자기자본이익률도 여러가지 판단을 하기전에 몇가지 확인을 해야 조금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수가 있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굉장히 중요한 지표입니다. 중요한 지표인만큼 ​표면 숫자를 확인하는 것 보다는 위에 설명한 것처럼 그 숫자가 어떤 변화를 나타냈는지 그 변화는 성장인지 의미없는 성장인지 그러한 판단을 하는 과정이 있어야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업종도 중요합니다 .
per과 pbr을 설명할 때에도 같은 업종과 비교하고 사이즈가 비슷한 기업을 비교하듯이 roe 자기자본이익률은 같은 업종도 중요하지만 roe 자기자본이익률이 급격하게 올랐다가 내릴 수 있는 업종은 roe가 높더라도 그 숫자 그대로 받아들이시면 안된다는 점입니다.